기타정보

국내 상장 인도 ETF 3종(KODEX, KOSEF 인도Nifty50, TIGER 인도니프티50) 비교 및 추천, 투자 방법

Gromit 2023. 4. 30. 01:09

국내 상장 인도 관련 ETF는 KODEX 인도NIfty50, KOSEF 인도NIfty50, TIGER 인도니프티50 3종(레버리지 상품 제외)으로 인도 주식에 개인이 직접 투자할 방법은 아직 없기 때문에 인도에 투자할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이 3개의 ETF가 각각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 비교해 보고 어떻게 구매해서 투자할 수 있는지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썸네일

 

목차

  • 1. ETF란?
  • 2. KODEX 인도 Nifty50 정보
  • 3. KOSEF 인도 Nifty50 정보
  • 4. TIGER 인도니프티50 정보
  • 5. 3종 ETF 비교
  • 6. ETF 투자 방법
  • 7. 인도 ETF 전망

 

1. ETF란?

상장 지수 펀드(Exchange Traded Fund)로 KOSPI, KOSDAQ 같은 지수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인덱스 펀드가 그 모태인데 기관을 통해서 투자 가능한 인덱스 펀드와 달리 ETF는 증권거래소에서 매매가 가능합니다.
 

 
지금은 종류가 다양해져 건설, 2차전지 등 테마만 추려서 투자하는 상품, 다른 나라의 지수에 투자하는 상품 등이 있습니다.
개별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어렵다면 본인이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테마나 국가의 지수에 손쉽게 투자 가능하며
종목 분석이 어려운 개인투자자들에게는 좀 더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설명드리고자 하는 Nifty50 ETF는 인도국립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인도 최대 기업 50개의 가중 평균을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인도의 가장 큰 기업 50개에 나눠서 한 번에 투자한다고 생각하시면 쉽습니다.
 
 

2. KODEX 인도 Nifty50 정보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주)

상장일 : 2023년 04월 21일
펀드보수 : 연 0.190% (펀드의 일종이기 때문에 운용사에 일정의 보수를 지급하게 됩니다.)
상장주식수 : 10,000천주
거래량/거래대금 : 137,645주 / 1,421백만원
시가총액 : 1,032억원
환율영향 : 환노출
차트

KODEX 인도 Nifty50 차트(일봉)

 
 

3. KOSEF 인도 Nifty50(합성) 정보

운용사 : 키움투자자산운용(주)

상장일 : 2014년 06월 26일
펀드보수 : 연 0.290%
상장주식수 : 9,650천주
거래량/거래대금 : 152,517주 / 2,889백만원
시가총액 : 1,827억원
환율영향 : 환노출
차트

KOSEF 인도Nifty50 차트(월봉)

 
 

4. TIGER 인도니프티50 정보

운용사 : 미래에셋자산운용(주)

상장일 : 2023년 04월 14일
펀드보수 : 연 0.190%
상장주식수 : 6,600천주
거래량/거래대금 : 396,698주 / 4,010백만원
시가총액 : 668억원
환율영향 : 환노출
차트

TIGER 인도니프티50 차트(일봉)

 
 

5. 3종 ETF 비교분석

 KODEX 인도Nifty50KOSEF 인도Nifty50TIGER 인도니프티50
운용사삼성자산운용(주)키움투자자산운용(주)미래에셋자산운용(주)
상장일2023년 04월 21일2014년 06월 26일2023년 04월 14일
시가총액1,032억원1,827억원668억원
상장주식수10,000천주9,650천주6,600천주
거래량137,645주152,517주396,698주
운용보수연 0.190%연 0.290%연 0.190%
환율영향환노출환노출환노출
투자방법Nifty50 직접투자합성상품Nifty50 직접투자
  • 합성ETF 상품은 자산운용사가 증권사에게 수수료를 지급하며 증권사에서 운용하는 기초 자산을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두 ETF보다 운용보수가 좀 더 높은 이유입니다.
  • 세 상품 모두 환율의 영향을 받는 환노출형입니다. 인도 루피화의 환율 등락에 따라 수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인도 루피화가 앞으로 강세를 보일수록 얻을 수 있는 수익도 높아집니다.
  • 반대의 의미로 환헷지형이 있는데 환율의 영향을 받지 않는 상품으로 종목명 뒤에 '(H)'가 붙습니다.
  • KOSEF 인도 ETF가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운영되고 있는 ETF인데 새로 상장된 KODEX, TIGER 상품보다 운용보수가 조금 더 높습니다. 투자 방법이 합성이냐 직접 투자냐 차이가 있으나 인도 Nifty50 지수에 투자하는 큰 틀은 같기 때문에 운용보수가 낮은 KODEX나 TIGER 인도 지수 ETF에 투자하는 것이 괜찮아 보입니다. 하지만 기존에 KOSEF 인도Nifty50에 투자하고 계신 분들은 굳이 바꿀 필요까지는 없을 것 같습니다.

 
 

6. ETF 투자 방법

ETF는 증권거래소에서 거래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주식을 매매하듯이 매도, 매수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제가 사용 중인 '키움증권 영웅문S#' MTS에서 일반 주식 종목 검색하듯이 ETF 탭에서 '인도'를 검색하면
 

영웅문S# '인도' 검색화면

사진과 같이 매수 가능한 ETF 목록이 뜨게 됩니다. 일반 주식 종목과 매매 방법은 똑같습니다.
다만 ETF 상품은 펀드의 일종이기 때문에 매매차익에 대한 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이를 피하기 위해서 해외 지수 ETF의 경우 개인연금저축 ETF로 꾸준히 장기투자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연금저축 투자로 세액공제와 함께 차익에 대한 세금 부담도 어느 정도 덜어낼 수 있습니다.
삼성생명, 미래에셋자산운용 등의 운용사에서 개인연금저축 가입 후 ETF를 구매해 주시면 됩니다.
 
 

7. 인도 ETF 전망

미국과 중국의 갈등이 심해지는 상황에서 인도는 이에 따른 수혜를 볼 가능성이 가장 큰 국가입니다.
인도의 인구는 14억 2,862만명인데, 노년층보다 젊은 층이 매우 두텁게 형성돼 있어 발전하기 아주 좋은 인구구조입니다.
세계 1위의 인구수, 저렴한 인건비, 젊은 생산인구로 인해 중국의 세계 공장 역할을 넘겨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인도 정부도 인도의 인프라를 향상하기 위해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하니
장기적으로 발전 여지가 너무도 많이 남은 국가에 투자하는 것은 좋은 선택으로 보입니다.
 

 
국내 상장 인도 관련 ETF 분석글이었습니다.
많은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