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Nifty 50 지수에 투자 가능한 인도 ETF 상품을 얼마 전에 매수했습니다. 장기 투자용으로 시작했기 때문에 기록을 함께 남겨두면 좋을 것 같아 일정 기간이 지나거나 이벤트 발생 시 이에 대한 글을 작성해보려 합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여러 인도 ETF 상품 중 왜 'TIGER 인도니프티50'을 선택했는지와 매수 현황, 그리고 앞으로의 투자 계획을 다뤄봤습니다.

1. 'TIGER 인도니프티50'을 선택한 이유
우선 지난번 작성한 인도 지수 투자용 ETF 3종 비교 글을 참고해 주시면 보시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국내 상장 인도 ETF 3종(KODEX, KOSEF 인도Nifty50, TIGER 인도니프티50) 비교 및 추천, 투자 방법
국내 상장 인도 관련 ETF는 KODEX 인도NIfty50, KOSEF 인도NIfty50, TIGER 인도니프티50 3종(레버리지 상품 제외)으로 인도 주식에 개인이 직접 투자할 방법은 아직 없기 때문에 인도에 투자할 수 있는 가장
talamak.tistory.com
국내에는 현재 삼성자산운용의 KODEX와 키움투자자산운용의 KOSEF,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에서 인도 니프티 50 지수에 투자하는 ETF 상품을 운용 중입니다.
그중 KODEX 인도Nifty50과 TIGER 인도Nifty50은 2023년 4월에 상장하여 나온 지 채 한 달도 되지 않은 상품이며 KOSEF 인도Nifty50은 2014년부터 거래가 시작됐습니다.
세 상품의 공통점은 인도의 루피화 환율에 영향을 받는 환 노출형이라는 점입니다. 앞으로 루피화의 가치가 올라가면 저에게는 좋을 것이고 그 반대라면 그만큼의 이익이 줄어들겠죠.
가장 큰 차이점은 KODEX와 TIGER의 인도 ETF는 Nifty50에 직접 투자한다는 것과 KOSEF 인도 ETF는 합성상품인 점입니다. '합성 ETF'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운용사가 직접 실물 자산을 편입한 것이 아닌, 증권회사와의 장외 스왑 계약을 편입하여 일정 수수료를 지급하고 증권사에 운용을 맡기는 것입니다. 투자에 어려움이 있는 신흥국 등에 간접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나왔던 상품이고 기초 지수를 정확하게 추종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굳이 직접 투자 상품이 있는 상태에서 0.1%의 운용 보수를 더 지급하며 합성 ETF를 고를 필요는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졌지만 0.29%의 운용 보수를 지급하는 'KOSEF 인도 Nifty50'은 제외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상품은 KODEX와 TIGER의 ETF입니다. 둘은 상장 시기도 비슷하고 운용 보수도 같으며 투자 방법도 같습니다. 운용 중인 포트폴리오는 어떨까요?


각 상품의 상위 10개 편입 종목 리스트를 가져와봤습니다. 종목과 구성 비율이 거의 비슷함을 보실 수 있습니다. 둘 모두 금융, IT, 에너지, 필수소비재 관련 종목 비중이 높네요. 금융 비중이 높은 게 조금 아쉽긴 하지만 인도에 투자하기 위한 다른 대안도 없는 상태이긴 합니다.
보시는 것처럼 KODEX와 TIGER의 인도 ETF 상품은 모든 면에서 거의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저는 둘 중에 평균 거래량이 많은 TIGER 인도니프티50을 매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아무래도 모두 같은 조건이면 매수 매도가 좀 더 수월한 상품이 좋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2. 매수현황과 향후 계획
저는 소액투자자이기 때문에 매우 적은 돈이지만 미래를 위해 공부한다는 마음으로 임하고 있습니다.
○ 매수 현황
- 종목명 : TIGER 인도니프티50
- 매입가 : 10,182
- 보유수량 : 404
- 수익률 : -0.88%
- 보유계좌 : 중개형 ISA
우선 가지고 있는 여유 자금으로 중개형 ISA 계좌에서 매수해 봤습니다. 중개형 ISA 계좌를 선택한 이유는 장기 투자를 하기 위함이고 ETF도 주식의 배당금에 해당하는 분배금이라는 개념이 있기 때문입니다.
TIGER 인도니프티50의 분배금은 매 1, 4, 7, 10월의 마지막 영업일에 들어옵니다. 일반 주식계좌에서 매수를 했다면 분배금이 들어올 시 소득세를 제외하고 받게 되지만 중개형 ISA 계좌에서는 분배금에 대한 소득세를 만기 시까지 이연해주는 혜택이 있습니다. 소액이라 큰 상관은 없을지라도 세금으로 인한 수익 누적이 장기간 쌓인다면 어느 정도의 차이가 나타날지 궁금합니다.
하지만 이럴 거면 세금 혜택이 더 큰 개인연금계좌가 낫지 않냐는 의문이 있을 텐데요. 연금 계좌는 제가 설정한 나이가 됐을 때부터 수령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가 정말 당장에는 없어도 된다 하는 금액만 투자하고 있습니다.
○ 향후 계획
저는 여윳돈이 생길 때마다 조금씩 장기간 매수해 볼 생각입니다. 회사에서 받는 각종 수당과 이런저런 이유로 생기는 여유 자금들이 있는데, 일정하지는 않지만 꾸준히 모아가다 보면 어느새 큰돈이 돼있다는 경험을 이미 다른 곳에서 해본 적이 있습니다. 그런 소소한 기록들을 앞으로 꾸준히 남겨보도록 하겠습니다. 큰 재미없이 지루하고 긴 투자가 되겠지만 저 같은 소액 투자자가 잠재력이 큰 인도 같은 나라에 장기 투자 했을 시 어떤 결과가 나올지 개인적으로도 궁금하기도 하네요.
TIGER 인도니프티50 매수 이유와 첫 번째 투자 기록이었습니다. 초보 투자자라 두서없는 내용이지만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제 글이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인도 관련 뉴스와 투자 기록도 꾸준히 정리해 볼 예정이니 참고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